우리는 디지털 기기와 앱을 활용해 더욱 똑똑하고 효율적인 일상생활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여러분이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한 디지털 활용 노하우를 공유해 주세요!
(3) 공유하고 싶은 사이버 사례 또는 예방방법은?
사이버 범죄나 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떤 습관을 가지고 있나요?
내가 겪었던 (또는 들었던) 사이버 위협 사례 중 꼭 공유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주변 사람들에게도 권하고 싶은 인터넷/앱 보안 팁이 있나요?
이 블로그 슬기로운 인공지능 탐구생활은 국민대학교 2025년 1학기 [정보통신과 현대생활] 수업에서 48명의 학생들과 교수가 함께 참여하며 만든 공유형 인공지능 실습 기록 공간입니다. 수업 중 학생들이 직접 수행한 다양한 인공지능 실습 과제와 창의적 사례들을 모아 슬기로운 인공지능 탐구생활을 통해 다 함께 보고 배우며, 서로의 아이디어에 영감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설되었습니다.
광고성으로 뜨는 팝업 등을 클릭하지 않는다. 또한, 정기적으로 노트북, 탭, 핸드폰 내에 프로그램 또는 기능을 통해 검사를 실시한다.
답글삭제낯선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나 이중 인증을 합니다. 공용 와이파이 사용을 자제하거나 하지 않고 앱 설치 시 권한 요청 꼼꼼히 보는 게 중요합니다.
답글삭제어렸을 때 네이버 계정이 해킹당한 적이 있었다. 해외에서 로그인 시도를 했고, 로그인 차단이 되었다. 본인인증 후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로그인했다. 2차적인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 되지만, 그 때부터 보안에 신경을 쓰기 시작했다. 그래서 계정을 만들면 항상 이중 인증을 설정한다. 새로운 환경에서 로그인할 때 2차 인증을 받을 때마다 귀찮지만, 보안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꾸준히 한다. 또한 이중 인증을 설정한 이후로 해킹을 당한 적이 없다.
답글삭제휴대폰에서 사용하는 앱의 권한은 꼭 필요한 것만 허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앱은 바로 삭제한다. 보안 관련 업데이트는 바로바로 하는 방법으로 사이버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답글삭제낯선 번호의 문자로 오는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는 것, 그리고 중요한 개인정보가 담겨있는 것에 관한 경우엔 2중 인증을 걸어둔다. 그리고 통신사 부가서비스 중에 (안심) 스팸알림과 (안심)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가 있는데 이러한 부가 서비스를 가입해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답글삭제요즘 크롬이나 사파리 등에서 제공하는 무작위 비밀번호 기능을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더욱 강력하게 변경한다. 그리고 http가 아닌 https로 인터넷에 접속한다.
답글삭제낯선 링크나 첨부파일은 절대 누르지 않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택배 사칭 문자나 이상한 이벤트 링크는 바로 삭제합니다. 유투브에서 메신저 피싱에 대한 영상으로 봤는데 평소 말투랑 달라서 돈을 보내기 전에 눈치채고 막을 수 있었던 영상이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에게는 꼭 이중 인증 설정과 비밀번호 자주 변경하기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답글삭제모르는 번호로 온 문자 메세지, 메일 등은 열어보지도 않습니다. 그리고 2중 인증을 걸 수 있다면 무조건 2중으로 보안을 해서 사이버 피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답글삭제낯선 번호로 온 문자는 읽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공pc를 쓸 때에는 로그아웃을 꼭 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공공 와이파이도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답글삭제